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상화폐 넴 (NEM)코인 시세와 향후 전망 그리고 에어드랍 호재

반응형

가상화폐 넴 (NEM)코인 시세와 향후 전망 그리고 에어드랍 호재

가상화폐 넴 (NEM, XEM) 코인 정보

NEM 넵의 블록체인 구조

넴 (NEM)은 'New Economy Movement' 의 약자입니다. 이름이 조금 부담스럽지만, NEM 프로젝트는 보다 효율적이고 단순하게 확장가능한 새로운 블록체인 플랫폼을 지향합니다. 

넴이 처음 만들어질때는 유토피안퓨처(UtopianFuture)라는 사용자가 NXT 포크를 위해 설계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후에 계획을 바꾸어서 독립적인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만들어진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폐가 XEM 으로 표기됩니다.  

2015년 3월 31일, 론칭한 넴(NEM)은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운용중이다. 총 발행량은 90억개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율은 0%, 추가발행 계획은 현재로선 없다. 

국내암호화폐거래소 중에서는업비트, 빗썸에서 거래할 수 있으며,다수의 해외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중이다. 

코인마켓캡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월 기준 넴의 시가총액은 약 2.7조원 수준, 다양한 암호화폐 중에서 약 15~20위권 내외에 속하는 코인이다. 

넴(NEM)의 기술은 다중서명 계정계약, 암호화 메시징과 같은 블록체인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금융기관, SNS, 교육, 헬스케어, 증강현실,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낮은 수수료 + 빠른 거래속도를 장점으로 금융권에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편이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소위 '국민코인'이라 불릴 정도로 인기가 높다.

현재도 일본의 금융기관들에서는 넴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여 적극적으로 투자를 해오고 있는 상황,일본의 상업용 블록체인인 미진(Mijin)에서는 넴을 소프트웨어로 활용하고 있는 중이며,핀테크기업인 드래곤 플라이에서도 넴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솔루션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닛케이그룹의 닛케이 상요 코코쿠샤와 새롭게 파트너십을 채결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동남아시아를 비롯하여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 사업중인다양한 분야의 기업들과도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세계적으로 높은 활용도를 보이고 있는데, 이 부분은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넴의 동작 원리

NEM 스마트 자산 시스템(Smart asset system)

넴(NEM)이 가진 가장 큰 가치이자 장점은 독특한 '하베스팅(Harvesting)' 방식입니다. 넴에서는 다른 암호화폐들이 '채굴'을 통하여 발행되는 것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블록을 발행, 수수료를 얻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요. POL(Proof of Importance)이라는 합의 매커니즘을 통해 누가 하베스팅(수확)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어요. 

중요도를 기반으로 활동이 증명되는 POL방식은 기본적으로 코인의 지분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더 높은 보상을 부여하는 시스템으로 통화보유량과 거래량에 따라서 통화가 발행되는 구조입니다.

계정이 처리하는 거래가 많아지면 네트워크에 의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서 하베스팅할 수 있는 확률도 높아집니다.  하베스팅의 최소요건은 10,000XEM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것어야 하고 수수료는 처리된 금액의0.01% 만큼을 부여받는다고 합니다.

이러한 동작원리는 다른 암호화폐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인 PoW, PoS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PoW 와 달리 고가의 채굴장비가 필요하지 않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PoS 와 달리 보유량 이외에도 보급 및 유통에도 기여할 경우에만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로, 단순히 코인을 보유만 하고 사용하지 않아 생기는 문제점들을해결 할 수 있습니다.

넵 에어드랍

넵 에어드랍

2015년에 처음으로 출시된 넴(NEM)은 2017년 2차폭등을 거친 역사가 긴 코인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코인 시세의 큰 등락을 겪은 코입니다.

상승장에서는 3000원까지 치솟았을 때도 있었지만, 그 이후로 폭락을 해서 한 때 30원대까지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처음 출시 당시부터 발행량이 90억개로 제한된 상태로 현재 모든 넴 코인은 시장에 나왔고 현재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 시장에 나올 물량이 없다는 점에서 다른 코인들과는 달리 더이상의 공급은 없는 코인입니다.

요즘 비트코인등 대부분의 코인이 상승하면서 넴(NEM) 코인 역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2020년 11월말 트윗을 통해 공식발표된 '심볼(XYM) 에어드랍' 이슈 때문입니다.  심볼 (XYM)은 2021년 1분기에 출시될 예정인 트랜젝션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퍼블릭 코인입니다.

기존에 넴 코인을 보유중인 경우에 1:1 비율로 심볼 (XYM) 코인을 에어드랍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확한 에어드랍 일정으로는 2021년 3월 12일, 오전 9시 50분 시점부터 시작된다고 공개되었으며 정확한 시기는 3,105,500번째 블록이 생성되는 시점을 기점으로 한다고 합니다.

바이낸스, 업비트, 빗썸, 후비오 등과 같은 다양한 거래소에서 에어드랍을 진행하고 있어각 거래소별 일정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 

넵(NEM)의 시세

넵(NEM)의 시세


넴의 시세는 현재 444원입니다. 급상승 하락후 현재 우상향중에 있습니다. 특히 심볼 에어드랍 이슈가 공식발표된 이후, 큰 폭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최근에는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업비트 기준으로 보았을 때, 3월 6일부터 14일까지 6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가 근래에 다시 조금씩 상승중에 있습니다. 늘 그렇듯이 에어드랍때는 항상 롤러코스터 장세가 나타나지요.

에어드랍 발표이후 급격하게 가격이 치솟았다가 스냅샷 일정이 지나면 또 무섭게 추락해버린다. 때문에 에어드랍 이슈가 있는 코인에 투자할 때는 더욱 더 명확하게 본인의 전략을 세워둬야 한다.

 

3월 14일, 비트코인이 한국시세로 사상최초로 7000만원을 넘어서면서 신고가를 경신했다. 대장주가 이렇게 미친듯이 달려주니 덩달아 다른 알트코인들도 함께 빨간불을 켜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넴은 6일 연속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보니, 더욱 신중해야 하겠다.

넴의 비약적인 성장에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로 거론되는 것은 현저하게 낮은 거래량 볼륨입니다. 에어드랍이 임박했다는 소식이 나올 때 넴의 거래량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의 거래량에 비견될 정도로 어마어마한 수치까지 올라갔으나  이후로는 거래량이 매우 급격하게 떨어졌어요.

코인이 계속해서 탄력을 받고 올라가기 위해서는 그만큼 활발한 거래량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넴의 경우는 거래량이 많이 아쉬운 상황입니다.

넴(NEM) 활용방안

넴은 상당히 다양한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2월초, 램프디파이(RampDefi)와 손잡고 스테이킹전용 넴 토큰 'wXEM을 출시했습니다. 그리고 영국의 디지털자산 인프라 프로바이더와의 커스터디 파트너십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넴이 공식적으로 발표한 파트너십 리스트를 보면 매우 다양한 기업들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유명한 알트코인인 펀디엑스(Pundi X)와 협업하여 XPOS 개발,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글로벌 항공, 호텔예약웹사이트 중 하나인 트라발라과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암호화폐를 통해 다양한 항공편과 호텔예약,결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드라곤플라이 핀테크는 글로벌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일찍부터 넴 코인에 큰 관심을 보여온 기업으로 알려져 있는데, 넴의 기술을 활용한 결제솔루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메루(Sumeru)는 사이버보안, 데이터분석기업으로 넴과의 협업을 통하여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성장발전 비전을 공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이 외에도 말레이시아의 Taylor's University 역시 넴과의 파트너십을 통하여 본교의 학생들에게 블록체인 기술을 교육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넵이 에어드랍이후 향후 어떤 방향으로 갈지 모르지만.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