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챗GPT 관련주들이 광풍을 불고 있습니다. 미국 오픈AI가 출시한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인 챗GPT(ChatGPT) 광풍으로 국내 코스닥 시장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2023년 코스닥시장 주가 상승률 10위권 가운데 9개 종목이 모두 챗GPT 관련 테마주들인데, 수익률이 최고 423%가 된 종목들도 있으니까요.
오늘은 이런 CHATGPT(챗지피티) 관련주들의 광풍속에서 어떻게 옥석을 가려서 골라 담아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묻지마 투자를 하는 경우도 많지만, 이제는 오를 종목과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려운 종목으로 나뉘어 지는 시기같습닏.
1. 챗GPT 관련주
증권가에선 CHATGPT(챗지피티) 과열 주의보가 일고 있습니다. 미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만으로 단기간에 주가가 기업가치 대비 지나치게 올랐습니다. 아래 챗GPT관련주들의 주가 상승률을 보면 현기증이 날 정도입니다. 그래서인지 전문가들은 단기 급등 이후 가격 조정으로 큰 손실에 대비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현재 쳇GPT 관련주로 분류되는 종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난테크놀로지(402030), 셀바스AI(108860), 오픈엣지테크놀로지(394280), 에스비비테크(389500), 셀바스헬스케어(208370), 브리지텍(064480), 솔트룩스(304100), 알체라(347860), 뉴로메카(348340)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23년 들어와 2월까지 코스닥시장에서 주가 상승률 상위 10위권 가운데 9개를 챗GPT 관련주가 차지하고 있닥도 밝혔습니다. 이들 종목의 평균 수익률은 228.7%하고 합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상승폭(14.7%)인 것을 감안한다면 실로 어마무시한 상승입니다.동 기간동안 상승한 챗GPT관련주 9개 종목의 거래대금은 총 21조2860억원입니다.
이들 종목 모두가 챗GPT 관련 테마주로 엮이면서 올들어 약 2개월 만에 주가가 최소 2.4배에서 최대 5.2배까지 급등한 상황입니다. 주로 AI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죠.
2. 챗GPT관련주 상세 내용
▶ 코난테크놀로지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크게 오른 종목은 코난테크놀로지로 2023년에만 422.83% 미친 폭등을 했습니다. 코난테크놀로지 주가는 작년 말 2만8250원에서 올 2월 24일 현재 14만7700원으로 상승했습니다. 1999년 설립된 코난테크놀로지는 AI 원천 기술인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SK텔레콤과 AI비서 '에이닷' 기능 고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셀바스AI
주가 상승률 2위는 셀바스AI입니다. 2022년 말 6720원이던 주가는 342.71% 치솟아 올해 2만9750원까지 올랐습니다. 셀바스AI는 셀바스헬스케어의 모회사로 음성 인식 기술을 개발 중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오픈엣지테크놀로지가 같은 기간 234.01% 상승해 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인공지능 기술을 엣지환경에서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스템반도체 설계 IP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을 주로 영위합니다.
고성능 Total Memory System IP Solution 및 신경망처리장치를 결합한 AI Platform IP Solution을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제공하는 기업이기도 합니다.
이외에 에스비비테크(226.16%), 셀바스헬스케어(220.57%), 브리지텍(188.31%), 솔트룩스(144.07%), 알체라(140.06%), 뉴로메카(139.36%) 등 순위로로 주가가 상승을 했습니다.
증권가에선 단기 과열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슈에 따라 움직이는 테마주 특성 상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가격 조정이 이뤄지면 주가 급락으로 이어져 큰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챗gpt관련주인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주가가 폭등후 잠시 숨고르기를 하고 있습니다. 미국 챗GPT는 직접 수혜주들로 연관성이 직접적이지만, 국내 AI업체중 챗GPT관련종목들은 테마로 형셩되면서 상승하고 있는 종목들이라 주가 상승에 근거가 약합니다.
챗GPT 테마주는 대부분 기업가치 대비 고평가된 상태로 보여집니다. 대장주인 코난테크놀로지의 지난 24일 종가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315.6배인 상황입니다. 지난해 매출액은 154억원으로 전년 대비 13.8% 감소했고 영업순손실 44억원과 당기순손실 36억원을 기록하며 각각 적자전환한 상태입니다. 주가로봐서는 매출 영업이익 모두 0이 2개씩은 더 붙어야 할 것 같은데요.
최근 테마장세 속에서 단기 급등으로 가격 조정 가능성이 높아진 중소형주보다 성장 기대감이 높고 펀더멘탈이 견고한 대형주 중심의 투자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주식 투자는 돈을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니까요.
3. 새롭게 바라봐야 하는 챗GPT 수혜주
증권가에서는 이런 옥석가리기에도 불구하고 당분간 AI 관련 기업들의 흥행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챗GPT 흥행으로 AI 기업들이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는 분석도 있으니까요.
구독 경제 모델이 상업용 AI와 성공적으로 결합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그리고 생성 AI 개선을 위한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한 구조가 탄생한 가운데 생성 AI 시장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보는 견해도 많습니다.
생성AI로 인해 다시한번 AI 분야에 대한 기업, 정부의 관심이 높아지고 투자가 확대되고 있고 생성 AI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AI는 비로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는거죠
그러나 지금부터는 AI업체와 더불어 AI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HW) 기업을 포함해 데이터 학습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설계하는 엔비디아와 같은 GPU업체, 그리고 GPU에 필요한 고성능 서버용 DRAM를 보유한 삼성전자 (KS:005930), SK하이닉스 (KS:000660) 등의 메모리 기업들에 대해서 장기적인 관점의 투자도 필요한 시점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