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역적자를 보면서 생각해본 투자 대응방법 (국내주식, 미국주식)

반응형

무역적자를 보면서 생각해본 투자 대응방법 (국내주식, 미국주식)

우리나라는 수출을 통해서 먹고사는 나라입니다. 이런 나라에서 무역적자가 12개월 연속이어진다는 건 재앙입니다. 수출이 5개월째 감소하고 무역적자는 1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무역적자 기간이 늘어나면서 국내 주식시장 침체와 투자환경이 어려워질 겁니다. 오늘은 투자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대응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2023년 2월 수출입 동향


산업통상자원부는 1월 통관기준 수출이 전년 동월보다 7.5% 줄어든 501억달러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습니다. 수출이 5개월 연속 줄어든 것은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020년 3~8월 이후 처음입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가 지속되고 반도체 업황이 악화되며 수출이 감소하였습니다. 반도체는 42.5% 감소했고 대중 수출은 24.2% 줄어드는 등 반도체와 중국 수출이 2월 수출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에너지 수입이 19.7% 늘면서 전체 수입이 전년비 증가했으나 에너지 외 수입은 전년비 소폭 감소하며 전월 대비로는 수입이 감소했다.

무역적자는 53억달러로 예상치(57억5천900만달러)를 웃돌았지만 12개월 연속 적자였다.


무역적자가 12개월 이상 지속된 것은 1995년 1월~1997년 5월 연속 적자를 낸 이후 25년여 만에 처음이다.

올해 누적 무역적자는 179억9천만달러로 두 달 만에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무역적자의 38%를 기록했다.

2. 무역수지 적자에 따른 주식 투자 대응방안은?

 

무역수지 적자가 영향을 주는 것은 경기가 않좋다는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적자의 가장 큰 문제는 대중국 적자입니다. 정부에서는 표면적으로 계속되는 글로벌 경기둔화 여파로 수출 감소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지만, 다른 나라들도 경기둔화를 겪고 있지만 성장률 자체가 국내는 2%아래오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경기전망이 너무 우울합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주식등 투자를 하시는 분들께서는 대응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국내 증시는 계속 떨어지고 있고 미국과 채권금리는 역전상태입니다. 게다가 물가까지 급격히 오르고 있는 상황이라 암담하네요.

 

그래서 제가 생각하는 투자 전략은 3가지 정도로 대비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1)달러자산에 투자

현재 원화를 달러로 바꾸어 안전자산으로 변경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다른 나라보다 국내 원화가치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달러가치가 상고하저라고 예상하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대한민국에는 해당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나 과거 IMF시절에 원화가치가 1700원이상까지 올라갔던 경험이 있었죠. 그 당시 달러자산을 가지고 있던 분들은 아이러니하게도 큰 이익을 보았죠. 

 

2) 달러로 미국 주식 투자

뉴욕 증권거래소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서 전세계의 주식 시장이 불안정하지만,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국제 경제가 재편되는 가운데 있습니다. 미국은 제조업을 다시 미국으로 가져오려고 하고 향후 경기가 살아난다면 가장 크게 반등할 국가는 미국일 것입니다.

 

챗GPT등 혁신기술이나 기업이 계속 미국에서 나오고 있는 상황이고 미국의 반도체 투자 강화를 통한 국내 반도체 산업의 위축이 예상되고 있어서 이 역시 미국 기업 주식에 투자할 시기로 보여집니다.

 

3)채권에 관심을 가져라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무역수지 적자로 인해 지금 조달을 위해서 기업들은 많은 기업채를 내고 국채도 증가할 것입니다. 그 사이에 금리역시 올라갈것으로 보입니다. 이로인해서 올해 하반기 이후 미국 금리가 5%이상으로 증가한다면 이 시기가 국내 및 미국 채권에 투자할 좋은 시기로 보여집니다.

 

미국이 4.5%대에서 금리 인하를 예상했지만, 근래의 CPI, PCE 지수들이 미국경기가 아직 활발하다고 알려주면서 FED는 5%이상으로 금리인상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금리가 5%이상으로 올라가면 그때부터는 금리 인하의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때가 채권에 투자할 시점이지 않을까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