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포스코케미칼 주가 상승 LFP 양극재 진출 검토

반응형

포스코케미칼 주가 상승 LFP 양극재 진출 검토

포스코케미칼이 15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3에서 차세대 배터리 소재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포스코케미칼이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사업 진출을 검토한다는 소식에 투자 심리가 개선되면서 주가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포스코케미칼의 LFP양극재 진출의 의미와 향후 주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포스코케미칼의 ‘인터배터리 2023’ 전시부스 조감도

1. 포스코케미칼(포스코퓨처엠)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사업 진출

 

국내에서 유일하게 양극재와 음극재를 함께 생산하는 기업인 포스코케미칼이 다양한 배터리 소재와 밸류체인, 차세대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번 인터배터리 2023에서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사업 진출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회에서 배터리 소재 제품이 전기차 고성능화와 고객의 수요에 따라 세분화되는 트렌드를 고려해 양·음극재 제품군 전체를 아우르는 풀(full) 포트폴리오를 소개했습니다.

포스코케미칼이 ‘인터배터리 2023’에서 다양한 배터리소재와 차세대 소재 기술 소개


포스코케미칼이 LFP 경쟁력은 가지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LFP소재는 LFP 배터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소재입니다. LFP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일종으로 중국에서 생산을 많이 하고 있어요.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는 대부분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인 '하이니켈' 배터리에 집중하고 있었는데 최근 화재 및 가격에 대한 경쟁력확보를 위해서 LFP 배터리에 진출한다고 합니다.

엘지에너지솔루션과 SK온도 인터배터리에서 LFP배터리에 진출하겠다고 밝히면서 시장 반응이 뜨겁습니다. 삼성SDI도 같은 날 열린 주주총회에서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사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고 발표하면서 사실상 배터리 셀제조 3사가 모두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사업에 진출하게 됩니다.

포스코케미칼은 배소지 소재와 관련하여 수직계열화가 제대로 된 기업입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양·음극재를 함께 생산하는 기업으로서 글로벌 배터리소재 생태계 구축, 제품 다각화, 차세대 소재 개발 등에 주력하고 있지요. 

 

2.리튬인산철(LFP) 양극재 및 배터리가 뭔가요?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반복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전기를 담을 수 있는 에너지 용기로 리튬 계열의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고 리튬 계열 배터리는 리튬 이온, 리튬 인산철, 리튬 폴리머 세 종류가 있으며 이를 통칭하여 리튬 2차전지라고 하지요.

리튬 인산철(LiFePO4)은 다른 리튬이온전지 (폴리머 포함) 등과 비교시 발열성이 없어, 가연성 또는 폭발 등을 일으키지 않음으로써 안전성이 탁월합니다. 또한 직류 측 입력 변동이 작아서 PCS 설계가 용이하고 ESS 절연전압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온도특성이 매우 좋아 자체 발열이 거의 없어서 주위 온도에 영향을 주지 않아요.

 

LFP 배터리는 저렴한 가격과 삼원계에 비해 분자구조가 비교적 안정적이고 이에 따라 이론적으로 화재 위험이 낮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근래에 배터리 화재로 인해 안정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한번 화재가 나면 잘 꺼지지도 않아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입니다.



원료로 코발트를 쓰지 않는다는 점도 공급망 관리 측면에서 매력적입니다. 코발트는 비싼 가격도 가격이지만 채굴 과정에서의 비윤리성이 지목돼 테슬라를 비롯한 많은 완성차 업체들이 사용을 지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배터리 업체가 LFP 배터리를 적극적으로 채용을 확대해 나가기를 주저했지요. 

가장 큰 단점은 낮은 에너지밀도입니다. LFP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는 소재 특성의 한계로 지금의 160Wh/kg 수준에서 크게 개선되기 어려워 한정된 전기차 공간에 '셀투팩' 기술을 적용해 LFP 배터리를 넣어도 1회 충전시 주행거리 400km 수준을 크게 넘어서기 어려웠어요. 

그러나 NCM 배터리는 향후 니켈 비중이 60%를 넘아 80%, 90%까지 올라가면서 에너지 밀도는 최대 300Wh/kg을 넘을 수 있어요.. 탑재 차량에 따라 다르지만 니켈 비중 90%의 NCM 배터리는 1회 충전시 통상 500~700km를 달릴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LFP 배터리가 '친환경' 흐름에서는 역행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우선 현재 주로 셀→모듈→팩 단위로 만들어지는 NCM 배터리의 경우 전기차 수명이 다하면 이를 다시 분해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반면 SNE리서치에 따르면 LFP는 에너지밀도를 최대화하기 위해 CTP(Cell to Pack)을 적용해 물리적으로 분해가 어려워 재사용도 어려운 점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LFP역시 에너지밀도를 높이는 기술개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중요한 점은 LFP관련 특허가 만료됩니다. 중국에서 수출을 위해서는 특허관련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특허만료로 인해서 수출이 쉬워질 예정입니다.

결국 국내 업체들도 향후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 규모가 하이니켈보다 커지면서 적극적인 기술개발및 제품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3. 포스코케미카라(포스코퓨처엠) 주가

 

김준형 포스코케미칼 사장은 ‘2023 인터배터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LFP 양극재 사업 진출은 현재 검토 단계”라며 “포스코케미칼은 LFP 경쟁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말하면서 포스코케미칼이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사업 진출을 검토한다는 소식에 투자 심리가 개선되면서 오늘 주가는 급등을 하고 있습니다.

오전 11시 43분 기준 포스코케미칼은 전 거래일 대비 2만3000원(9.54%) 오른 26만40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

포스코케미카라(포스코퓨처엠) 주가

위에 표에서 보여드린것 처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규모가 점점 커지고 3원계 NCM배터리는 점점 MS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미 수직계열화가 되어 있고 3원계 양극제, 음극제에서 경쟁력을 갖춘 포스코케미칼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향후 밸류에이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