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만도 계산기(BMI) 비만도 퍼센트 표

반응형

비만도 계산기(BMI) 비만도 퍼센트 표

요즘 비만도 계산기가 검색어에 자주 등잡합니다. 비만도 계산기란 질병관리본부가 개인 비만도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자신의 키와 체중, 나이를 입력하면 손쉽게 비만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요.

 

오늘은 비만도 계산기와 비만도 퍼센트 표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1. 비만도 측정 및 계산기

비만도 측정은 비만도를 진단하는 기준인 BMI(Body Mass Index) 계산법을 바탕으로 합니다.

 

BMI 계산법은 'BMI 지수=몸무게(kg)÷키(m)×키(m)'이다. BMI 지수가 18.5 이하면 저체중, 18.5~23은 정상, 23~25는 과체중, 25~30은 비만, 30~35는 고도비만으로 진단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20년 건강검진통계연보'에 따르면 BMI 25이상(비만)은 전체 38.2%이며, 남성은 45.7%, 여성은 29.6%였습니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9년 건강검진통계연보'에 따르면 비만율(BMI 25 이상)은 전체 36.2%이며, 남성은 43.9%, 여성은 27.7%였고요.


남성은 30대(49.5%), 여성은 70대(40.9%)의 비만율이 가장 높았다. 비만율은 2014년 32.8%, 2015년 34.1%, 2016년 34.9%, 2017년 36.9%, 2018년 38.2%로 꾸준히 증가하다 지난해 소폭 감소했습니다.

 

비만도 계산기는 주로 신장과 체중을 넣으면 이를 기준으로 계산을 해줍니다. 네이버에도 있고 많은 의료기관에서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비만도 퍼센트 표

비만도 퍼센트 표에서는 근육,뼈의 무게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인바디라고 불리는 체성분 검사를 해야 자신의 비만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인바디에서는 체지방량, 골격근량이 나와 실제 비만도를 측정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다만 신장과 몸무게로 간단하게 비만도를 알아 볼 수 있는 비만도표를 참고하세요. 

3. 비만도를 줄이는 식사관련 생활습관

체중조절을 위해서는 저열량, 저지방식을 권장합니다. 영양교육을 통해 하루 섭취량을 배워 알맞게 먹도록 합니다. 식사관련 습관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식습관을 실천합니다.

- 접시법 이용하기
- 채소류, 해조류, 버섯류는 접시의 절반이상 담아 먹기
- 밥공기는 작은 것을 사용하기
- 밥공기가 크면 탄수화물 섭취량이 자연스럽게 많아지므로 작은 공기 이용하기
- 탄수화물 알맞게 섭취하기
- 식사 시 탄수화물이 함유된 과일, 우유 등과 반찬으로 묵, 감자 등의 곡류군을 먹을 경우 밥량을 줄여 탄수화물 섭취량 지키기
- 식사 순서를 바꾸기
- 식사 시 혈당을 천천히 올리는 채소를 먼저먹고, 밥과 단백질 반찬을 섭취하기
- 식사속도를 20분 이상 천천히 먹기
- 간식은 식사 2:30~3시간 사이에 과일군 1교환 단위 또는 우유 1컵만 마시기
- 술은 금주하거나 주 1~2회, 1~2잔만 마시기
- 정제된 식품, 단순당 피하기
- 좋은 지방을 적당량 섭취하기
- 육류의 기름기, 튀김류, 부침류 피하기
- 당뇨수첩 또는 앱에 식사량 기록하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