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테슬라 주가가 잠시 조정을 보이다가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테슬라의 슈퍼컴퓨터 ‘도조’가 기업 가치를 5000억 달러(약 662조 원) 더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으며 주가가 10% 가량 급 상승을 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테슬라의 자율주행을 담당하는 슈퍼컴퓨터 도조가 5000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더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냈는데, 여기에 시장이 열광하네요.
도조는 인공지능(AI) 기술과 고화질 영상 등 테슬라 전기차의 주행 데이터를 토대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슈퍼컴퓨터입니다. 모건스탠리는 도조가 테슬라의 자율주행 로보택시 도입을 가속할 수 있다고 평가하면서 테슬라가 자율주행(FSD) 관련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다른 기업에 판매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은 테슬라를 연금상품에서도 매매할 수 있는 상품인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ETF 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제가 퇴직연금 IRP에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상품중 수익성이 높은 상품을 찾다가 투자중인 종목입니다.
그래서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ETF 의 수익률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1.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ETF 기본 정보
미래에셋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ETF' 는 테슬라 주식 1종목, 국채 3-10년물 9종목으로 구성된 혼합형 ETF입니다. 테슬라의 성장성을 누리면서 채권의 안정성에도 한 번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죠.
주식 29.5%, 채권 70.5%로 구성되어 개별주식 직접투자 효과와 변동성 완화 효과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어요.
테슬라는 독보적인 기술력을 가진 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업체다. 자동차 회사로서는 최초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돌파하며 전기차 시장을 이끌고 있지요.
현재 중국 상하이 등에 글로벌 생산기지를 조성해 향후 전기차 판매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뿐 아니라 자율주행과 로봇산업에 진출하는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며 혁신의 아이콘으로 평가받고 있는 기업으로 누구나 잘 알고 있는 기업입니다.
ETF 비교지수는 'FnGuide Tesla Balanced Index'지수로, 테슬라 주식 1종목과 'KIS 국채 3-10년 총수익지수' 일간 수익률을 혼합해 산출하는 방식입니다.
해당 지수는 나스닥100 지수에 비해 변동성 대비 수익률이 우수하고, 고점 대비 최대 낙폭이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잇습니다. 환노출형으로 주식 비중은 원-달러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또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TR(Total Return) 방식으로, 분배금이 없고 매도시점에만 세금이 발생해 장기 투자에 적합한 상품입니다.
2. 퇴직연금 안전자산 투자 가능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ETF는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 100% 투자 가능한 상품이다. 현행 제도상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과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의 위험자산(주식형, 주식혼합형, 원자재형 등 기타) 투자 한도는 최대 70%다.
30%는 채권혼합형, 채권형 등 안전자산에 투자해야 합니다. 채권혼합형인 해당 ETF는 안전자산으로 퇴직연금 계좌 내 최대 100% 투자해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운용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TIGER 미국테크TOP10 INDXX ETF' 등 주식형에 70% 투자하고 나머지 30%를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ETF 에 투자할 경우 글로벌 핵심 성장주에 약 80% 투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IRP)계좌에서 주식형 70%를 투자하고 나서 대부분 MMF에 넣어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채권형으로는 요즘 금리가 높아서 계속 손실이 일어나니까요.
하지만,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ETF은 테슬라가 채권가격 하락을 상쇄하면서 상승을 하네요.
저는 안전자산으로 TDF에 넣다가 IGER 테슬라채권혼합Fn ETF로 바꾸고 수익률이 확실히 좋아지고 있습니다.
투자 권유 절대아닙니다. 다만 여러가지 선택지중 안전자산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익률이 높은 ETF도 있다는 정도로 이해해 주세요. 저는 안전자산도 수익률이 높은 위험이 있는 상품을 찾고 있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