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최근 한국을 향한 산업용 요소 수출을 막자 2년 전 '요소수 대란'을 겪었던 산업계에 다시 불안감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당장 재고가 충분하긴 하나, 요소 의존도가 높은 중국 조치에 국내 산업이 화들짝 놀라는 일이 계속반복되고 있네요.
이번 요소 수입 차질은 중국 해관(세관)이 롯데정밀화학 등 국내 요소수업체가 구매한 요소의 선적 작업을 중단시켜버렸습니다. 요소로 만드는 요소수는 경유차가 배출하는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데 활용됩니다.
발전소, 공장 등도 매연을 줄이기 위해 요소수가 필요합니다. 2021년 11월 중국의 요소 수출 규제 직후 물류 산업이 직격탄을 맞은 요소수 대란이 발생한 이유입니다.
지난 2021년 요소수 대란 당시 2~4주에 불과했던 기업별 요소 재고가 3개월 정도는 버틸 수 있다고 합니다. 3개월치 금방인데..
현재 중국의 수출 중단 조치에 국내 산업계가 흔들리는 모습은 2년 전과 판박이로 중국 요소 의존도를 낮추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관세청에 따르면 산업용 요소 중국 수입량 비중은 2021년 83.4%에서 2022년 71.7%로 떨어졌다가 그리고 2023년 1~10월 누적 91.8%로 의존도가 더 높아졌습니다. 요소수 대란 이후 주요 업체가 카타르, 베트남 등으로 요소 수입처를 넓혔다가 이내 가격·품질 경쟁력을 갖춘 중국산으로 다시 돌아왔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요소수 대란과 관련하여 사람들이 요소수를 미리 사놓거나 향후 요소가 대란시 요소수를 파는 주유소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요소수 유통기한
3개월치 재고가 있다는 말만 듣고 있다가는 2021년처럼 곤욕을 치룰까 걱정을 하여 작년부터 요소수를 미리 사놓고 계신 분들이 많아요. 그런데 요소수는 유통기한이 없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기더라구요.
요소수는 자동차 배기가스에 포함된 NOx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방출 시 대기오염과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엔진출력을 낮추지 않으면서도 배기가스에 포함된 매연 수치를 낮출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에 요소수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오래된 요소수는 품질변화로 인해 차량의 수명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보관 상태에 따라 사용가능 여부는 달라지게 됩니다.
요소수 유통기한은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잘 몰라요. 오랜기간 보관할 필요가 없으니 유통기한이 있다는 사실도 모르죠. 요소수도 장기간 보관 또는 방치 시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유통기한이 있습니다.
위의 그림을 보시면 최소 6개월 ~ 최장 36개월정도입니다.
요소수의 유통기한은 보관 온도에 따라 다릅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쉽게 확인가능하며, 최장 36개월 보관과 사용이 가능합니다.
보관 방법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변질될 수 있어요. 그래서 보관방법을 잘 지키셔야 합니다.
- 직사광선을 피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 가능하면 한 번에 제품 전체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 장기간 보관을 위해서는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최적 10℃)
2. 요소수 주유소 찾기
요소수 파는 주유소 찾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습니다.
1) 요소수를 가장 많이 판매하는 롯데정밀화학 유록스 홈페이지를 이용
2) 오피넷을 활용합니다.
오피넷 홈페이지(https://www.opinet.co.kr/)에 접속 후, 요소수 주유소 찾기를 하시면 가능합니다.
3) 네이버 지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요소수 주유소 아이콘을 클릭하여 바로 요소수 주유소를 검색해 보겠습니다. 현재 보고 계시는 지도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순서로 요소수 주유소를 검색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2021년에 이렇게 검색을 했는데, 향후에도 있어서는 안되겠지만, 혹시 같은 문제가 나오면 지원하지 않을까 합니다.
3. 요소수 시세 및 가격
2021년 중국이 호주와 무역분쟁을 벌이며 자국 내 요소 수출을 제한했을 때, 국내 요소수 품귀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요소수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았지요. 10ℓ에 10만원에 판매하는 업체도 있었으니까요. 화물차량들이 요소수를 구하지 못해 물류가 마비 직전까지 갔었습니다.
현재 요소수 가격 및 시세
시장 가격은 요동치고 있다. 기존 온라인에서 요소수 10ℓ에 기존 1만원대 초중반 가격으로 형성됐었으나 현재 2 ~ 3만원대로 가격이 상승한 상태입니다.
현재까지는 아직 공급이 있어서지만 요소수 수입제한이 좀더 현실적으로 다가온다면 사재기가 일어날 수도 있고 물류대란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번에 정부가 나서서 좀 제대로 대처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