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플로우
이오플로우는 국내 최초 웨어러블 인슐린 패치형 펌프인 이오패치(EOPatch)의 임상 시험을 완료했다고 3일 밝히면서 주가가 급등을 하였습니다.
이오플로우는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에서 2019년 12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제1형 당뇨인들을 대상으로 이오패치 착용 전 4주와 착용 후 4주를 비교해 제품의 효능, 만족도, 부작용 등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해왔습니다.
임상시험 결과 효능 측면에서는 이오패치가 혈당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당뇨인의 혈당 관리에 효과적이라고 확인되었습니다. 모든 시간대에서 이오패치 착용 후 혈당이 착용 전에 비해 적정 혈당 범위(70~180mg/dL)에 더 오래 머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떨림, 불안, 혼란, 두근거림, 공복감, 의식소실, 발작, 혼수 등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는 레벨2 중증 저혈당(54 mg/dL 미만)의 발생률은 착용 후 확실히 낮아졌고 특히 밤 시간대의 중증 저혈당 예방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센서 혈당 180~250mg/dL의 발생률이 줄어 고혈당 예방에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임상시험 만족도 조사에서는 착용 편이성 항목에서 9명의 응답자 중 7명이 만족했고, 착용 후 생활 항목에서 8명이 만족감하였다고 합니다. 패치펌프가 인슐린 주사에 대한 걱정을 줄여주는 지에 대해서는 9명 모두 만족한다고 응답해 이오패치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어요.
부작용이 없는 제품은 없잖아요. 역시 부작용 측면에서는 이미 연속혈당측정기나 인슐린 펌프의 부작용으로 잘 알려진 피부발진, 바늘 부위통증, 가려움증이 각각 1건씩 발생하였지만, 경증으로 중대한 이상반응은 없었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의 추적관찰 기간이 4주인 점에서 당화혈색소와 당화알부민의 변화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이오플로우는 이번 임상 시험으로 국내 최초 웨어러블 인슐린 패치 펌프의 우수성이 검증되었고 제품 경쟁력을 확보한 만큼 국내외 상용화를 서둘러서 매출 신장과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오플로우 주가
5만5700원 고점을 찍은 후 횡보를 하던 주가가 국내 최초 웨어러블 인슐림 펌프 '이오패치' 임상시험 완료 소식 등에 급등하였습니다. 11.57%상승한 4만9650원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이오패치의 성능이 확인되었고 상용화 역시 빠른 시일안에 이뤄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이오플로우 주가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오플로우는 투석(인공신장)관련 신사업을 위해 11.03억원을 출자해 이오플로우(주) 자회사(미국)를 신규 설립키로 결정했다고 공시하였습니다. 이오플로우가 지분율 100%를 가진다고 합니다. 향후 미국시장에서의 매출신장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코로나19 관련주
■ 엔투텍 - 미국 모더나와 코로나19 백신 유통 협의 진행중이고 모더나 창입 멤버 로버트 랭거 박사 사내이사로 있습니다. 로버트 랭커박사가 백신유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서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소마젠 - 2014년 미국 제약사 모더나와 DNA, RNA 염기서열 분석 서비스 계약 체결을 하였고 모더나와 지속적인 사업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모더나에 년 100만달러 시퀀싱 서비스 제공 모멘텀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12월 특징주
■셀트리온제약 :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개발 기대감 지속에 급등.
▶셀트리온은 코로나19 항체치료제 'CT-P59'의 글로벌 임상2상 시험에 참여한 환자 327명에게 투약을 완료했다. 이 치료제는 올해 안에 식품의약품안전처 조건부 허가를 받을 수 있다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 1일에는 이날 다국적 제약사 다케다제약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18개 프라이머리 케어 제품군에 대한 권리자산 인수절차를 마무리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맥스로텍 : 투자사 성운파마코피아. 아비간, 나파모스타트, 카로스타트 등 코로나19 치료제 후보군 연구개발 진행중.
▶11월 27일 맥스로텍은 상상인저축은행을 대상으로 발행한 3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6회차) 납입이 마무리됐다고 공시했다. 이번 CB는 성운파마코피아의 지분 인수를 위해 발행됐습니다. 지난 10월 맥스로텍은 정인화 성운파마코피아 대표가 보유한 지분 17.07%(60만5943주)를 42억원에 인수했다. 이번 추가 지분 매입으로 맥스로텍이 보유한 성운파마코피아 지분율은 30% 정도로 전망된다.
성운파마코피아는 바이오 기술과 화학 합성 기술을 동시에 보유한 신약원료 개발 전문기업이다. 아비간, 나파모스타트, 카모스타트 등 코로나19 치료제 후보군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래에셋벤처투자 - 투자사 비리어드, 리제네론과 코로나19 중화항체 진단키트 개발 파트너로서 상용화 임박에 상승.
▶11월 21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리제네론의 코로나19 항체 치료제의 긴급 사용을 승인했다. 투약 대상은 12세 이상의 경증 또는 중간 정도의 증상을 보이는 코로나19 환자다.레너드 슐라이퍼 리제네론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3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항체 치료제를 미국에서 내년 1월 초까지 30만 회분을 보급할 예정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미래에셋벤처투자가 투자한 미국 비리어드는 리제네론과 함께 코로나19 바이러스 중화항체 진단키트 개발 파트너로서 상용화를 앞두고 있어요. 비리어드는 리제네론과 코로나19 확산 초기부터 중화항체 진단키트 개발에 착수하는 등 전략적 협력 파트너로서 리제네론으로부터 지분투자까지 받으며 기업가치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종텔레콤 : 로컬 5G 관련 서비스 추진 및 랜섬웨어 솔루션 '트로이컷' 인기 소식 등에 급등
▶전일 업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세종텔레콤과 네이버, 대형 IT 서비스 업체 등이 로컬 5G를 준비하면서 정부의 주파수 할당과 활성화 정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어요. 세종텔레콤은 스마트공장, 스마트팜 등 기업고객을 위한 로컬5G를 준비 중이며, 지난해 말부터 일본, 유럽 등의 동향을 보면서 추진해왔고 선호 주파수 대역을 정하지 못한 네이버와 달리, 정부에 3.7㎓ 주파수를 원한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세종텔레콤은 금일 언론을 통해 랜섬웨어 공격을 차단하는 '엔드포인트(End point)' 보안솔루션 '트로이컷(TrojanCut)'에 대한 문의와 도입 건수가 전년동기대비 280%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와 관련, 세종텔레콤 관계자는 "최근 기존 랜섬웨어의 변종이 다수 출현하여, 산업을 불문하고 금액과 금품을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아이오케이 : 광림 지분 취득 결정 속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지분취득을 통한 수익창출 목적으로 (주)광림 지분 14.03%(7,423,748주)를 147.36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 공시를 냈습니다.
■자안 : 프리미엄 기능성 패션 마스크 美 FDA 승인 소식에 상승
▶자안은 언론을 통해 자체 개발한 '프리미엄 기능성 패션 마스크'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본격적인 마스크 생산에 돌입했으며, 유럽 CE 인증과 국내 식약처의 KF 인증도 진행중입니다.
■엔에스엔 : 자회사 뉴로소나, 우울증/불면증 임상 연구 범부처 지원사업 선정 소식에 상승
▶엔에스엔은 언론을 통해 자회사 뉴로소나가 추진하는 저강도 집속초음파(LIFU)를 활용한 우울증 및 불면증 임상 연구가 '2020년 제3차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사업'의 의료기기 임상시험 지원 연구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에서 뉴로소나는 우울증 임상 연구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으며, 참여기관은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아주대학교병원 등입니다.
■젠큐릭스 : 관계사 엔젠바이오 공모 청약 흥행 소식에 상승
▶전일 젠큐릭스 관계사인 엔젠바이오는 지난 1~2일 양일간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공모주 청약에서 1,502.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이 같은 경쟁률은 2019년 이후 상장한 기술특례기업 중 역대 1위 기록이며, 올해 IPO(기업공개) 공모주 대어였던 카카오게임즈(1525:1)와 비슷한 수준으로 알려졌어요
▶엔젠바이오는 정밀의료분야의 사업을 위해 KT와 젠큐릭스의 합작법인(JV)으로 2015년 설립했으며, 국내 최초로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술 기반 유방암·난소암 정밀진단제품의 식약처 허가를 취득하는 등 NGS 기반의 유전자 진단 분야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어요
■삼강엠앤티 : 일본 해상풍력 입찰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일본 정부가 해상풍력 단지 건설을 위한 입찰을 지난 주말부터 시작한 가운데, 일본 정부의 입찰규모인 1.4GW에 사용되는 하부구조물은 약 7천억원 수준이며, 2030년까지 10GW 가 설치된다면 일본의 하부구조물 시장만 약 5조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와 관련, 제조능력과 가격경쟁력을 감안하면 아시아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시장에서 삼강엠앤티를 능가할 업체는 사실상 없으며, 삼강엠앤티는 이미 일본업체들과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납품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라고 합니다.
▶일본을 포함해 대만, 대한민국, 베트남 해상풍력 시장규모만 2035년까지 약 45GW에 달하고, 관련 하부구조물 시장은 22조원 이상으로 삼강엠앤티에게 남은 숙제는 증설의 타이밍뿐이라고 합니다
■DSC인베스트먼트 : 글로벌 면역 항암제 투자 포트폴리오 공개 속 투자 수익 기대감에 급등
▶DSC인베스트먼트가 글로벌 면역 항암제 투자 포트폴리오를 공개한 가운데,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바이오벤처와 글로벌 임상 2상 투여를 완료한 업체도 포함돼 있어 향후 투자 수익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DSC인베스트먼트가 지난해 3월 `DSC초기기업 성장지원펀드`를 통해 300만달러를 투자해 2.19% 지분을 확보한 나스닥 상장사인 아디셋 바이오(Adicet Bio)는 미국 캘리포니아 내 바이오벤처로 감마델타 키메라항원수용체(CAR-T)를 활용한 항암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400만달러를 투자한 코이뮨(CoImmune, inc)의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세포치료제 `CMN-001`은 현재 미국에서 임상 2b상을 진행 중임. 아울러 카메디컬(KAHR Medical)과 온세르나 테라퓨틱스(OncXerna Therapeutics, inc.)도 현재 임상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텔리안테크 : 저궤도 위성 매출 가시화 전망 등에 급등
▶유안타증권은 인텔리안테크에 대해 글로벌 저궤도 위성사업자들의 상용화를 목전에 둔 가운데,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매출 약 20% 성장, 글로벌 저궤도 위성사업자인 원웹향 매출 인식 본격화 등에 내년부터 큰 폭의 매출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내년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각각 41.2%, 272.5% 급증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2022년 매출은 더욱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향후 저궤도 위성사업자의 주문 수량에 따라 100%를 상회하는 매출 성장도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엘엠에스 : 한국자동차연구원, 자율주행차 핵심 부품 '라이다' 국산화 추진 속 참여 사실 부각에 급등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은 언론을 통해 자율주행 자동차 핵심 부품인 라이다(LiDAR) 국산화에 나선다고 합니다. 한자연은 벨기에 라이다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반도체연구기관 IMEC와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하며, 광학부품전문기업인 엘엠에스와 전자부품전문기업 에스오에스랩과 함께 시장선도형 기술인 '자율주행 차량용 반도체 칩 타입 고정형 라이다 센서'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유앤아이 : 정부 육성 제1차 혁신형 의료기기 기업 선정 소식에 상승
▶유앤아이는 언론을 통해 보건복지부가 선정한 제1차 혁신형 의료기기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합니다. 이번 선정을 통해 세제지원 등을 포함한 규제 완화, 정책금융기관 등을 통한 자금적 혜택, 정부가 추진하는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연구 개발사업' 등 연구개발, 시장진출 지원 사업에서 우선 대상자로 우대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포인트모바일 : 신규 상장 첫날 상승
▶12월 3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포인트모바일의 주가는 공모가 15,000원을 상회한 30,000원에서 시초가를 형성한 뒤 상승한 뒤 3만 550원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포인트모바일은 산업용 PDA 및 주변기기(악세사리) 개발, 제조, 생산업체로 자체 브랜드 PDA의 판매와 함께 글로벌 PDA 업체로 ODM 공급을 진행 중입니다.
■우리기술 : 17.48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두산중공업과 17.4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36%) 규모 공급계약(국내 MMIS 디지털트윈 시스템 개발 DCS 소프트웨어 용역) 체결(계약기간:2020-12-02~2023-03-31) 공시를 하였습니다.
■나이벡 : 플랫폼 및 신약가치 재평가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키움증권은 나이벡에 대해 플랫폼과 신약가치의 재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여 긍정적 시각을 유지한다고 분석하였습니다. 기대 이벤트가 잘 지켜지고 있고, 풍부한 모멘텀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종 기업 대비 부담 없는 시가총액 매력적이라고 합니다
▶지난 10월 보도자료에서 언급한 치과용 골재생 바이오소재 중국 허가 연내 기대가 실제로 11월 중국 식품의약품 관리총국(CFDA)에 승인을 받았고, 지난 키움증권 11/17일 보고서에서 연내 IBD 공동연구 기대한다고 언급한 바 있는 이 역시 12/2일 영국 인트랙트파마와 공동연구 맺으며 잘 지켜지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기술투자 : 95.20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에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1,700,000주(95.20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공시(기간:2020-12-03~2021-02-26)하였습니다.
■청보산업 :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및 총 10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안상욱 외 3인이 그로우스앤밸류13호 투자조합에 보유주식 1,406,978주를 140.69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공시하였습니다.
▶아울러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피이닉스1호조합 대상 5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및 피이닉스 2조합 대상 5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공시하였습니다
■장원테크 : 50억원 규모 사모 CB발행 결정 속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한국채권투자자문(주) 대상 5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공시(전환가액:2,221원, 전환청구일:2021-12-15 ~ 2023-11-15)하였습니다.
■잉글우드랩 : 내년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잉글우드랩에 대해 기초화장품 OEM/ODM 전문 기업으로 코로나19 피해를 최소화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되며, 안정적인 고객 기반을 중심으로 신규 고객의 지속적 유입에 따라 매출이 성장 중이라고 합니다
▶내년 매출액은 1,633억원(+19.1% y-y), 영업이익은 171억원(+140.9% y-y)으로 이익률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입니다. 코스메카코리아로 최대주주 변경 이후 지속적인 비용 절감 효과 가시화, 아마존 등 신규 고객사 추가에 따른 매출 확대 및 고정비 부담 개선 등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레고켐바이오 : 일본 제약회사와 ADC 분야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옵션계약 체결 등에 상승
▶레고켐바이오는 언론을 통해 일본 유수의 제약회사와 ADC분야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옵션계약을 체결했다고 합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양사는 레고켐바이오의 차세대 ADC플랫폼기술을 활용하여 ADC 후보물질을 발굴할 계획이며, 공동연구개발을 통해 협의된 데이터가 도출되면 계약상대방이 글로벌 개발 권한 및 상용화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옵션(기술이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신한금융투자는 레고켐바이오에 대해 전일 미국 소재 NRDO 기업인 Pyxis Oncology(픽식스)에 총액 3억달러(3,255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 체결을 공시한 가운데, 이번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Pyxis의 지분을 수령 가능한 옵션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계약 가치는 3억달러를 훨씬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바이오주들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바이오주들은 아직 구체적인 신약개발이나 임상결과를 기다리는 기업들이 많고 임상경과가 나와도 실적과 바로 연결되지 않는 리스크가 있습니다.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옥석을 가려서 포트폴리오를 조금 다양하게 가져가는 전략도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