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지난 한주 가슴이 파래지다 못해 검게 변했네요. 인플레이션 우려가 순식간에 경기 침제를 걱정해야 하는 한주가 되었어요.
그래서 앞으로 경기침제에 대해서 준비를 하고 공부도 해야 할 것 같아서 오늘은 주식 투자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지표 중 하나인 "샴리세션 지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주식 시장에서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다양한 지표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샴리세션 지표는 특히 기술적 분석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그럼, 샴리세션 지표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샴 리세션 지표가 뭔가요?
샴 리세션 지표(Sahm Recession Indicator, Sahm Rule Recession Indicator)는 실업률을 근거로 리세션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샴 법칙이라고도 불리는 이 침체 지표는 3개월 평균 실업률이 이전 12개월 중 최저치보다 0.5%포인트 높으면 경제가 침체로 접어들었다고 판단합니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이코노미스트로 활약한 바 있는 클라우디아 샴이 작년 5월에 내놓은 보고서에서 처음 제시된 것입니다. 샴은 미시간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07년에 연준에 합류해 12년간 연준에 몸담았아요.
리세션은 통상 두분기 연속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경우로 정의됩니다. 그러나 실제 리세션이 공식 선언되는 데는 리세션이 시작된 후 최장 1년까지도 걸립니다.
미국의 경기침체 진입과 종료 시점을 선언하는 전미경제조사국(NBER)도 2007년 12월 시작된 경기침체를 공식 선언하기까지 1년의 시일이 걸렸습니다. 당시 침체는 2009년 6월 끝나 18개월간 지속된 것으로 공식 선언되었어요.
경기가 침체에 진입했다는 것을 곧바로 인지할 수 있다면 당국자들의 정책 결정이 보다 쉬워질 수 있다는 점에서 샴 법칙은 다소 직관적인 지표입니다.
샴 법칙을 1970년대 이후 모든 리세션에 적용할 경우 리세션이 시작된 후 실제 2~4개월 구간에 모두 샴 법칙 기준에 부합하고 있습니다.
2008년 1월 연준 당국자들은 미국 경제가 리세션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으며 당시 6개월 내 미국 경제가 리세션에 빠질 가능성을 45%로 예상했다. 하지만 이러한 예상은 빗나갔습니다.
샴 이코노미스트는 작년 11월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지표는 침체 신호가 나타났을 때 재빨리 이를 감지해 부양책을 시행해 침체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현재 미국 경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식고 있어서 앞으로 실업률이 계속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 데이비드 로젠버그 경제학자는 “고금리 시대에 재무적으로 어려워진 기업들이 고용을 미루면서 실업률이 연말 5%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경제는 2025년 6월까지 하강할 가능성이 56%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이 운영하는 연준 경제지표 데이터인 프레드(FRED)에서도 이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2. 샴리세션 지표의 활용 방법
샴리세션 지표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활용됩니다:
▶ 추세 파악
샴리세션 지표를 통해 주가의 상승 추세와 하락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표 값이 상승하면 강세, 하락하면 약세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매수 및 매도 시점 예측
샴리세션 지표를 기준으로 주가가 지표 값을 상회하면 매수 신호, 하회하면 매도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지지선 및 저항선 설정
샴리세션 지표를 통해 주가의 지지선과 저항선을 설정하여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3. 샴리세션 지표의 장점과 단점
장점
- 간단한 계산 : 샴리세션 지표는 간단한 계산으로 주가의 중심점을 파악할 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추세 분석 : 주가의 추세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투자 결정에 도움이 됩니다.
단점
- 단기 변동성 :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 신중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 보조 지표 필요 : 샴리세션 지표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어 다른 기술적 지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실업률이 4.3%까지 치솟으면서 1950년대 이후 거의 모든 미국 경기 침체를 정확하게 예측한 지표인 '샴의 법칙'(Sahm Rule)이 발동되었어요.
이 지표는 실업률의 3개월 이동 평균이 전년도 최저치보다 0.50%p 이상 상승하면 경기침체가 임박했거나 이미 경기 침체에 빠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게다가 금요일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삼의 법칙은 0.53%p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이번엔 틀리기를 바라지만 역사적으로 샴 리세셔지표의 정확성이 무섭거든요.
주식 투자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표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샴리세션 지표는 주가의 추세를 파악하고 매수와 매도의 시점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단기 변동성에 민감할 수 있으므로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