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S전선 기업소개 주가 전망

반응형

LS전선 기업소개 주가 전망

오늘(12월18일)LS전선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2,324.30억원 규모 해저케이블 건설사업 수주에 주가가 크게 상승을 했습니다.  12월 17일 LS는 자회사인 LS전선이 한국전력공사와 2,324.3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05%) 규모 공급계약(완도-제주 #3HVDC 해저케이블 건설사업)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 (계약기간:2020-12-17~2023-12-16). 

완도-제주 #3HVDC 해저케이블 건설사업은 한국전력공사가 제주지역에 안정적인 전력공급 및 전남 남부지역의 계통 보강을 진행하는 프로젝트로서 LS전선은 150kV HVDC 해저케이블 및 접속재 공급, 시공 및 Test 등을 수행하는 계약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LS전선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LS전선은 어떤 기업인가?

LS전선 로고

LS전선은 정확히 LS전선아시아입니다. LS전선은 외국기업의 지분소유를 통하여 외국기업지배지주회사로 2016년 09월 22일 코스피에  상장한 회사입니다. 베트남에 위치한 전선 제조업체인  LS-VINA Cable(전력케이블), LS Cable(통신케이블),  미얀마에 위치한 전선 제조업체인 LS-Gaon Cable, 판매업체인 LS-Gaon Cable Trading을 종속업체로 두고 있습니다. LS전선의 동남아시아 자회사를 현물출자하여 설립된 회사로 쉽게 이야기해서,  LS전선의 아시아 권역의 제조공장 및 판매사업 업체를 지배하는 역할의 회사입니다. 

LS전선에 투자하는 이유는?

안양 LS전선 본사

정확히는 LS전선아시아에 투자하는이유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베트남 미얀마의 성장가능성과 유동주식이 적다는 이유입니다.

▶ 베트남과 미얀마의 성장성
베트남의 경우 중국을 대체할 글로벌 공장으로 2030년까지 연 10%이상의 전력수요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발전소 및 송배전 설비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5G도입에 따른 광케이블의 성장도 예상됩니다. 

미얀마의 경우에도 향후 10년간 총 발전량을 현재 3.5GW에서 20GW로 약 5배이상 증설할 예정으로 전력산업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 유동주식이 적다.
LS전선의 현물출자로 설립된 회사로, LS전선 및 사업주가족들이 61.72%를 보유하고 있고, 케이에이치큐제삼호 사모투자회사가 9.66%, 자사주 0.23%로, 71.6%가 묵여있습니다.

그래서 발행주식수 30,624,879주 중 21,928,662가 묶여있어서 유통물량은 870만주 수준밖에 되지 않아요.

LS전선 주가

LS전선 주가

LS전선이 한국전력공사가 제주도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추진하는 `완도~제주 해저케이블 사업`을 수주하면서 주가가 급등하였습니다. 수주금액은 2300억원에 달합니다. 이는 2009년 수주한 `진도~제주 해저케이블 사업`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제주 연계 해저 케이블 건설

12월 17일 LS전선은 전라남도 완도와 제주도 간 약 90㎞를 송전급(HVDC) 해저케이블로 연결하는 사업을 수주했다고 공시했는데 수주금액은 2324억원입니다. HVDC 해저케이블은 일반 케이블과 달리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아 환경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LS전선은 해저케이블 생산부터 시공까지 프로젝트 일체를 수행할 예정으로 완공 시기는 2023년 말입니다. 

이번 해저케이블 사업이 완료되면 제주도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반대로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도 육지로 전송할 수 있게 되지요. 현재 HVDC 해저케이블의 제조와 시공까지 일괄 공급할 수 있는 곳은 LS전선을 포함해 전 세계 5개사에 불과합니다. 이번 사업자 선정에는 LS전선이 단독 참여했어요.

LS전선이 제주도와 육지를 연결하는 해저케이블 사업을 맡은 건 이번이 두 번째입니다. 이보다 앞서 2009년 전남 진도와 제주도를 잇는 4450억원 규모 해저케이블 사업(길이 105㎞)을 수주해 2013년 공사를 완료했습니다. 이보다 앞선 1998년 준공된 전남 해남군과 제주도 간 해저케이블 사업(길이 96㎞)에는 프랑스 전력업체 넥상스가 참여했구요.

LS전선은 내년에 강원도 동해시 사업장에 HVDC 전문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LS전선은 지속적인 국내 투자 확대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용 촉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했듯이 베트남과 미얀마의 성장성과 유통주식이 작아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볼 필요가 있어요. 현재까지 아주 다이나믹한 주가를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지만 매우 안정적이며 향후 지속적인 발전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LS전선 동해사업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