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린바이오는 mRNA 백신 개발과 생산 단계에 사용되는 mRNA 합성서비스를 공급중이며, 코로나19로 mRNA를 비롯해 혈장치료제, 콜드체인 수요가 늘어나면서 관련 매출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mRNA 합성서비스 사업은 화이자, 모더나의 mRNA백신 상용화에 ‘mRNA 백신 서비스’를 국내 바이오기업, 병원, 학교 등에 해당 제품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으로 국내 mRNA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해 지면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서린바이오 mRNA 합성서비스
서린바이오가 mRNA 백신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mRNA 합성서비스를 공급 중입니다. 서린바이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관련 제품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관련 매출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월 6일 서린바이오는 mRNA 합성서비스를 공급 중이며 mRNA 백신 개발 단계나 위탁생산시에 합성서비스가 사용될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유전자 백신인 RNA 백신의 한 종류인 mRNA를 이용한 의약품에 대한 아이디어는 약 30여년 전에 나왔어요. 그러나 상용화에 성공해 인간에게 실제로 투여되는 것은 이번 화이자, 모더나 백신이 처음입니다.
바이러스나 단백질의 일부를 항원으로 사용하는 기존의 백신은 배양 과정이 매우 복잡하지만 mRNA 백신은 특정 바이러스의 유전자 정보만 알아내면 빠른 시간 내에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모더나와 화이자의 백신이 가장 먼저 임상시험에서 성과를 낸 것도 바로 이런 이유때문입니다.
mRNA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 표현에 있는 일명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는 mRNA를 외부에서 합성한 것입니다.
화이자, 모더나의 mRNA백신 상용화가 이뤄진 가운데 서린바이오의 ‘mRNA 합성 서비스’는 국내의 기업체, 병원, 학교 등에 해당 제품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으로, 국내의 mRNA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해 지면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 mRNA 백신 위탁 생산 할 경우에도 서린바이오의 mRNA서비스가 공급 가능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녹십자홀딩스, 한미사이언스 등과 함께 mRNA관련주로 꼽히는 서린바이오는 매출이 증가세입니다. 서린바이오는 국내에 다양한 바이오 분야에 필요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최근 코로나19로 연구개발 및 국내의 바이오분야의 연구 및 생산이 활성화 되면서 지난 3분기까지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서린바이오 주가
서린바이오가 1월 6일 상한가로 마감을 했습니다. 상한가의 가장 큰 이유는 서린바이오가 mRNA 백신 개발과 생산 단계에 사용되는 mRNA 합성서비스를 공급 중이라는 이유입니다. 위에서 mRNA합성서비스에 대해서 설명드렸지요.
이러한 합성서비스로 인해 매출이 증가하고 있어서 주가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서린바이오 주가는 1월5일 종가 기준으로 PER는 26.5배, PBR은 1.7배입니다. PER는 도매업종의 평균 PER 26.5배와 동일한 수준으로 업종 내에서 하위 1%에 있고, PBR은 도매업종의 평균 PBR 1.7배와 동일한 수준으로 업종 내에서 하위 1%에 위치한다. 보통 낮은 PER는 현재 시장이 해당 기업의 가치를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서린바이오는 코스닥 전체에서 PER와 PBR이 각각 하위 1%, 1%에 랭킹되어 시장에서 저평가주로 관심을 가져볼 만한 종목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실적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mRNA기반의 백신이 점점 늘어나면서 향후 성장가능성도 가지고 있는 기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