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50년 이상 배당을 늘려온 귀족 배당주 (미국주식)

반응형
50년 이상 배당을 늘린 미국 기업

동학개미와 서학개미들이 요즘 주식시장의 최대 화두이죠. 대주주 요건같은 정부 정책에 대해서도 여론을 형성하고 있고 미국 주식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르고 있는 서학개미까지.. 개미들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어요.

미국 배당주 매력은?

최근 서학개미들은 미국 배당주에 관심을 보이고 있지요. 연말이 다가오면서 배당주 자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올해는 해외 주식 투자자와 투자금도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미국 S&P500 시장의 배당수익률은 연 2%대로 사실 한국 유가증권시장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미국 배당주 투자자들은 세계 최대 주식시장에서 수십 년간 꾸준히 배당을 늘려온 기업들의 안정성과 지속성에 주목해야 합니다. 단순히 배당수익률뿐 아니라 기업의 성장으로 인한 주가 상승까지 기대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이지요.


한국 배당주가 대부분 1년에 한 번 배당하는 것과 달리 미국은 분기 배당이 보편적입니다. 매월 배당을 하는 기업도 있어요. 그래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미국 배당주는 정말 매력적입니다. 1년에 네 번 배당월이 종목별로 교차하게 포트폴리오를 짜면 매달 월세가 나오듯 배당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1,4,7,10월, 2,5,8,11월, 3,6,9,12월 배당하는 종목을 각각 나눠 매수하는 방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매월 배당을 받는거죠. 게다가 매달 배당하는 종목과 상장지수펀드(ETF)까지 이용하면 유연하게 수익 구조를 갖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어요.

미국 배당주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종목이라면 오랜 기간 빠짐없이 배당을 늘려온 기업들이 있지요. 수십 년간 이익이 늘고, 주주친화적인 정책을 통해 시장의 신뢰를 쌓아온 기업들입니다. 이런 종목은 배당왕(50년 연속 배당 증가), 배당귀족주(25년 연속 증가), 배당성취주(10년 연속 증가) 등의 이름오로 불리고 있어요.

당왕 기업 중 시가총액 10조원 이상으로 S&P500지수에 속한 기업들은 10여 개가 있습니다. 도버(산업재), 제뉴인파츠(유통), P&G(소비재), 에머슨일렉트릭(자동차부품), 3M(복합산업), 코카콜라(소비재), 존슨앤드존슨(제약) 등이다. 배당귀족주는 펩시코, 월마트, 맥도날드, 엑슨모빌, AT&T, 셰브런 등 60개 기업이 해당한다. 경기침체, 금융위기 등 긴 세월 동안 수많은 위기를 견뎌낸 기업들이다. 50년이면 한 기업이 생존하기도 벅찬 기간이다. 꾸준히 성장하며 배당까지 늘리기는 더 어렵다. 배당왕 기업에는 주로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산업재 등 진입장벽이 높은 분야에서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바탕으로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업이 많습니다.

개별종목 투자가 좋을까요? ETF가 좋을까요?

국내시장 환경에 익숙해도 국내 주식으로 수익을 내기가 정말 어려운데, 해외주식 개별 종목 투자로 수익을 내는 것도 리스크가 상당합니다. 그래서 이런 직접투자가 부담스러운 분들은 배당주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를 많이 하고 있어요.
대표적인 배당주 ETF로는 블랙록의 ‘iShares Select Dividend’와 뱅가드의 ‘Dividend Appreciation’ ETF 등이 있습니다. 단순 시가 기준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이 아니라 최소한 10년 이상 배당을 늘려온 기업 위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블랙록 배당주 ETF가 에너지, 금융 등 전통산업 비중이 높다면 뱅가드는 소비재, 소프트웨어, 미디어, 반도체 등 업종도 상당수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또 인베스코의 ‘International Dividend Achievers’ ETF처럼 미국뿐 아니라 캐나다, 유럽 등에서 25년 이상 배당을 늘려온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도 있습니다.

배당주라고 해서 단순히 배당수익률이 높은 고배당주보다 이익과 배당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배당성장주’에 투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고배당이 주가 하락으로 인한 착시효과일 수도 있기 때문에 종목별 리스크와 업황 등을 고려해 투자해야 하는거죠.

배당성장주의 경우 현재 배당수익률이 낮아 보여도 이는 주가의 장기 상승이 반영된 결과일 가능성이 큽니다. 마스터카드의 올해 배당수익률은 0.46% 수준이지만 2010년 이후 이 회사의 주가 상승률은 1000%나 됩니다. 2010년 주가를 기준으로 보면 현재 배당수익률은 8% 수준으로 계산하실 수 있어요.

최근 배당수익률 10%를 돌파한 엑슨모빌은 올해 주가가 50% 이상 떨어져 배당수익률이 역대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고배당주 중에 코로나19로 타격이 큰 업종이 많은 것도 이 때문입니다. 리츠 종목의 경우 상업용 부동산 시장 타격으로 배당이 줄어들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결국 배당주는 성장성이 있어서 주가와 같이 성장하는 주식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 배당율로만 판단하시면 앞으로 남고 뒤는 까지는 실수를 할 수 있어요.

반응형